esm / esp 순서 자유롭게 배열하기 (TESVSnip, Wrye Bash)
2014. 12. 10. 01:50 - renn스카이림 모드의 플러그인에는 esm, esp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esm은 마스터 플러그인으로서 배열에서 무조건 esp의 위에 위치하고, CK툴에서 Active 상태로 불러올 수 없습니다.
(MO 플러그인 목록에서 마스터 플러그인(esm)은 굵고 비스듬하게 표시됩니다)
단 위 스샷처럼 esp가 esm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esmify(esm화)된 esp로서 확장자는 esp지만 esm 속성을 갖고 있는 페이크 esp입니다.
엘더7 카페의 esp 한글패치나 언오피셜 패치처럼 짝을 이루는 esm의 바로 아래에 배열시켜야 하는 esp들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올바른 모드 배열 순서]
Skyrim.esm
Update.esm
[es7]skyrim-kor.esp
Unofficial Skyrim Patch.esp
Dawnguard.esm
[es7]dawnguard-kor.esp
Unofficial Dawnguard Patch.esp
HearthFires.esm
[es7]hearthfires-kor.esp
Unofficial HearthFires Patch.esp
Dragonborn.esm
[es7]dragonborn-kor.esp
Unofficial Dragonborn Patch.esp
위 배열처럼 되지 않고 한글패치.esp나 언오피셜 패치.esp를 다른 esm 위로 배열할 수 없을 경우
TESsnip이나 Wyre Bash 툴을 이용해서 직접 수정해줄 수 있습니다.
1. TESVSnip 수정법
esm화하고자 하는 esp 열기 -> 항목 트리에서 TES4 마우스 우클릭 -> Edit... 눌러 편집창 띄우기 ->
Flags1 오른쪽의 드롭메뉴에서 ESM file 항목에 체크 -> Apply 버튼 클릭 -> TESsnip File 메뉴에서 저장
반대로 esm을 열어서 ESM file 체크를 해제하면 esp화되어 다른 esp 아래로 배열할 수 있고, CK툴에서 Active 상태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단 CK툴에서 편집 후 일단 저장하면 자동으로 다시 ESM file 속성을 갖게 되므로,
모드 수정시 esm을 편집할 필요가 있을 경우 TESsnip이 아니라 아래의 Wrye Bash를 이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2. Wrye Bash 수정법
Wrye Bash는 esp를 esm으로 복사하여 새로 만들거나, 그 자체를 esm화시킬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esm화하고자 하는 esp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Esmify Self를 누르면,
확장자는 esp 그대로 유지하면서 마스터 플러그인(esm)으로 인식되어 다른 esm 위로 배열할 수 있게 됩니다.
단순히 배열 순서만 자유롭게 할 수 있는 TESsnip에 비해 Wrye Bash는 모드 수정시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